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키류 코코-아카이 하아토 대만 언급 논란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결과 ==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tablebgcolor=#fff,#1f2023> [[파일:hololive 로고 패러디.png|width=100%]] || || [[레딧]]에서 이 사건을 풍자한 로고. [[hololive CHINA]]의 정식 로고가 아니다. || || [[파일:Ei664Z6VgAAQTMY.jpg|width=100%]] || || [[중국|중화인민공화국]]에 무릎 꿇은 [[hololive]]를 풍자한 사진[* 원본은 일본 드라마 [[한자와 나오키]] 시즌 1의 장면이다.] || || [[파일:179f104c98412c2ec.jpg|width=100%]] || || 이 사건을 풍자한 팬아트[* 구속된 사람은 [[키류 코코]], 경찰들의 옷에 그려진 캐릭터는 중국의 온라인 방송 플랫폼 [[빌리빌리]]다.] || 당연히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는 팬들을 제외한 팬덤에서는 난리가 났다.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통계에 '대만(台湾)'이라고 집계되었고 그대로 읽었을 뿐인데 뭐가 잘못이냐는 반응을 보였다. [[중국]]에서의 의존도가 늘어난 만큼 [[Band in China|중국에 찍소리도 못하게 되어]] [[중국 위안]] 맛을 잊지 못하고 머리를 조아리는 cover에 대한 비판은 덤이었다. [[키류 코코]]와 [[아카이 하아토]]는 대만 발언을 의도하지도 않았음에도 하나의 중국을 부정한다고 하면서 [[빌리빌리]]에서 집중 포화당하였고 3주간의 근신 처분을 받게 되었다. 다른 근신 사례와 비교할 시 [[토코야미 토와]]의 남자친구 의혹, [[마노 알로에]]의 live 2d 모델 유출 보안 문제로 인한 근신이 2주였는데 '''대만 언급이라는 이유만으로 3주 근신'''은 다른 모든 문제보다 중국에서의 cover 자사의 입지를 제일 중요시한다고 생각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그런데 빌리빌리의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는 시청자들은 정신을 못 차리고 하나의 중국 지지 발언이 중국어판에만 있다거나[* 영어권과 일본어판에는 기 자료인 접속자 통계 공개 때문이라고만 했다.], 오히려 [[오오카미 미오]]가 저작권 문제 때문에 한 달 쉰 것에 비해 짧다고 비난하면서 불탔다. 실제로 중국에선 안 사람 [[딥페이크]] 음란물을 만들자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그런 만큼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는 팬들은 처벌이 충분하지 않다며 분노를 멈추지 않았고, 이외의 팬덤들은 처벌의 당위성을 받아들이지 못해 말 그대로 '''[[총체적 난국|난장판이 되어버렸다]]'''. 당연히 이런 때 전쟁터가 되는 트위터에서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는 사람들 대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들로 편이 나뉘어 뜯고 뜯기는 싸움이 심화되었고, 북미에 많이 거주하는 중국계들 사이에서도 정치적 논쟁거리가 되었다. 심지어 둘의 커리어를 완전히 박살내기 위해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들이 가득한 커뮤니티에 들어가 하나의 중국 지지자가 아닌 척 행세하면서 선동하려는 움직임까지 [[https://twitter.com/BepDelta/status/1311000830577967104|포착된 적이 있다.]] 당연히 이를 모를 리가 없는 그 팬덤은 선동에 넘어가지 않았고 결국 하나의 중국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이들에 대한 공격은 거의 포기했다. 오히려 중국어를 읽을 줄 아는 네티즌들이 이들의 유출된 채팅 스크린샷을 영어로 번역해 퍼뜨리는 바람에 자기들 이미지만 더 떨어졌다. 두 쪽 다 커버를 비판하는 것은 같지만, 그렇다고 커버 측에서 선택의 여지가 있던 것은 아니다. [[hololive CHINA]]의 탤런트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었던 행위다.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는 팬들의 신상 털기는 말도 아니고 중국 본토와 공식적인 비즈니스를 하고 있는 한 정부의 조치가 없을 것이라는 보장도 없다. 쉽게 말해서 CN의 버츄얼 유튜버들이 인질로 잡힌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와 비교하여 중화인민공화국 현지 기업과 제휴를 맺어 만든 [[VirtuaReal]]로 빌리빌리에 진출해서 활동하는 [[ANYCOLOR|애니컬러]]의 방식이 재조명받기도 하였다.[* 게다가 애니컬러는 다른 현지 기업과의 제휴로 [[니지산지 상하이-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대만에도 중국과 함께 진출한 적이 있었으며 현재는 제휴가 종료되었다.] 논란 이후 taiwan과 china가 [[금지어]]로 등록된 것이 [[hololive ENGLISH]] 소속 [[가우르 구라]]의 방송에서 확인되었다. [[신 대만 달러]]로 평범하게 "대만에서 좋은 아침 인사 보내요"라고 슈퍼챗을 올리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https://twitter.com/uoko_key/status/1311540362029133825|심지어 일본 국회에서까지 논란이 되었다.]] 일본 기업의 대중 [[손타쿠]]의 예로 커버 주식회사가 거론되었다. 다만 이후 당사자가 밝히길 [[https://twitter.com/AkiraIgata/status/1311569199085449216?s=20|그저 재미삼아 거론해 본 거였다고.]] 2020년 10월 7일 기준으로 홀로라이브는 [[Band in China]]의 [[Band in China/포함 명단#s-2.49|블랙리스트]]에 올라갔다. 방송 클립 및 중국발 일본어 매드를 영어로 번역해 유튜브에 올리던 [[https://www.youtube.com/c/HoloLiveMoments/|HoloLive Moments]]에서는 운영자가 중국인이라며 일부 공식 영상에[* 해당 글에서 예시로 든 것은 [[호시마치 스이세이]]와 3기생의 사가사변 [[https://www.youtube.com/watch?v=-wNSFmqhQsU|커버 영상]], 아키 로젠탈의 3월의 판타지아 - 콜라주 "[[에미야 가의 오늘의 밥상]] 엔딩" (커버) [[https://www.youtube.com/watch?v=BmHBJg7_4jE|#]], 우사다 페코라의 아웃트로, 나키리 아야메의 인트로 등.] 중국인이 참가했고, 중국 수익이 많고[* [[미나토 아쿠아]](2019년 슈퍼챗 1위로 스트레이트에 나온 탤런트)가 유튜브보다 비리비리 수익이 더 많다거나 아키 로젠탈이 수익 창출을 세 달 정도 중단당했을 때 비리비리로 연명했다 등.] 홍보 등 도움을 받았다[* 중국 서비스를 비리비리에서 하는 [[벽람항로]],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등도 언급했다.]면서 부심 부리며 [[https://www.youtube.com/post/UgyP0qFnqskOD0OdoS54AaABCQ|중국을 지지한다며 영상을 전부 내리기도 했다.]] 그런데 키리누키 채널인데 멤버십까지 돌린 것 등의 기존 행적도 재발굴되었고, [[https://www.reddit.com/r/Hololive/comments/j24tjc/a_youtube_translators_video_was_issued_a/|동일한 구간 클립을 딴 것을 자기 소유라고 주장하면서 저작권 신고를 하기까지 했다]]. 다만 원본 채널을 신고하기 위한 목적이란 추측도 있었다. 논란이 되어 구독자 수가 26.6만 명이었던 것이 20만 명 이하로 붕괴되었고 트위터 채널을 비공개하였다. 본 사건이 종결된 건 2020년 9월쯤인데, 여파가 커서 해당 유튜버는 이후에도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지 않는 팬들에게 [[평생까임권|영구적으로 까이게 되었다.]] 3주 간의 근신을 마친 코코는 10월 19일 오전 6시 아사코코 라이브로 복귀했고, 하아토는 같은 날 19시 라이브를 통해 복귀할 예정이었다. 두 버튜버 모두 19일 0시가 지난 직후 트위터에 복귀를 알리는 트윗을 올렸고, 이에 홀로라이브 소속 버튜버들이 속속 복귀를 축하하는 멘션을 남기고 있다. 한편 해당 트윗들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두 팬덤들이 치열하게 키보드 배틀을 벌였다. 이 둘의 복귀 방송은 그야말로 아수라장이었다. [[중국어]] 테러는 물론이고 [[한국어]]까지 써가면서 팬덤을 분열시키려고 하는 움직임도 보였고, 실제로 한국어로 채팅하는 모습도 간간히 보였다. 자음 표기에 특수문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테러 채팅은 쏟아지는 슈퍼챗에 밀려 잘 보이지도 않았다. 방송 마지막에 하나의 중국 지지자들에게 '''"[[뻐큐|Fuck U]] and never come back"'''을 날린 코코는 덤. 결국 이 사건 이후 악성 하나의 중국 지지자들이 지독하게 테러만 일으키는 상황에 질렸는지, '''홀로라이브가 중국 서비스를 종료'''하려고 준비 중이라는 소식이 중국 멤버 [[hololive CHINA#시비아|시비아]]의 방송, [[hololive CHINA#아티아|아티아]]의 [[https://twitter.com/Artia_OW|트위터]]를 통해 밝혀졌다. 홀로라이브 본사 측에서도 2020년 11월 12일 멤버들의 [[졸업(버츄얼 유튜버)|졸업]] 방송일을 알리고 공식적으로 hololive CHINA의 해산까지 결정하면서 사건이 마무리 되었다. 한편 홀로라이브 멤버들이 자주 플레이했고 홀로라이브 소속 버츄얼 유튜버의 곡이 수록된 리듬 게임 [[Muse Dash]]를 퍼블리싱하는 [[X.D. Global]]에서 뜬금없이 홀로라이브 소속 버츄얼 유튜버의 방송 금지령을 내리는 것도 모자라서 본 사건에 관련된 단어를 언급하면 밴을 하겠다고 선언하였다. 제작진 측은 이에 대해 '''퍼블리셔 측의 독단적 결정'''이며 본 사건에 대해서는 알지도 못하고 있었다고 입장을 표명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Muse Dash#s-8.1]] 참조.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